■ 콩가루벌레
♣ 형태적 특징
매미목 뿌리혹벌레과에 속하며, 성충에는 간모형, 보통형, 산성형, 유성형등 4형이 있는데 간모형은 월동란에서 부화한 것으로서 등황색이며 서양배 모양이나 보통형은 간모의 알에서 태어난 것인데 단위생식에 의하여 알을 낳고 담황색이다. 산성형은 8∼9월경 보통형에서 태어난 것으로 서양배 모양이며 선황색이고 이들이 암수가 될 알을 낳는다. 유성형은 자웅이 있다. 알은 타원형이고 담황색 내지 황록색이며 표면이 끈끈하다. 약충 중 간모형은 타원형이고 보통형과 산성형은 난형이다. 유성형은 고착생활을 하며 성충기에서는 운동할 수 있다.
♣ 기주와 피해
봉지를 씌운 배를 약충과 성충이 가해하여 과면이 마치 콩가루를 뿌린 듯하고, 가해부위로 검은무늬병균이 침입하여 흑색의 반문을 형성하며 과면에 균열이 생기고 그 부분이 단단해져서 상품가치가 떨어진다.
♣ 발생생태 1년에 6∼10회 발생하며 주로 알로 수간의 나무껍질 밑 또는 틈새에서 월동하지만 남부지방에서는 일부 약충으로도 월동한다. 성충과 약충 모두 그늘진 곳에서 살다가 6월 하순∼7월 상순에 과경을 거쳐 봉지 틈으로 침투하여 과실의 표면에서 즙액을 먹으면서 번식을 한다. 콩가루벌레는 햇빛을 싫어하기 때문에 배에 씌운 봉지 속에서 잘 번식하여 9월 중순에 이르면 보통형에 섞여 산란형이 나타나기 시작한다. 암수가 구분되는 알을 낳고 이들이 부화해서 줄기에 머무르며 유성형 성충이 된 후 교미하여 10월중하순에 월동처에 산란한다.
♣ 방제법 월동기 거친껍질을 제거하고 기계유유제를 살포(껍질을 벗기지 않은 경우 방제효과 저조)한다. 약제방제 적기는 낙화 직후, 봉지씌우기 직전 및 봉지씌우기 직후 등으로서, 특히 봉지씌우기 직전이다. 봉지 내 과실로 이미 이동한 이후의 약제 방제효과는 현저히 저하되나 디디브이피는 가스독성이 있기 때문에 봉지가 씌워진 상태에서도 방제효과가 비교적 좋다.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방제약제로는 디디브이피, 호리마트, 더스반, 구사치온 등이 효과가 있다.
|